이번에는 자산 및 부채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관리하고 있는가를 평가해보자.
이때 보는 것이 활동성비율. 즉, 회전율이다.
(2) 활동성비율 (회전율)
회전율은 총자산회전율, 매출채권율, 재고자산회전율, 매입채무회전율, 유형자산회전율이 있는데 아래처럼 분자가 매출액이거나 매출원가이다.
이때 분자를 다 매출액으로 해도 되지만 실무적으로는 이렇게 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정답이 있는 것이 아니라 동종업계와 비교할 때 동일하게 적용만 한다면 상관 없다!
이제 하나씩 살펴보자.
아래는 매출액으로 통일했다.
총자산회전률
매출액을 총자산으로 나눈 수치
회사가 자신이 보유한 총자산을 이용하여 매출액을 얼마나 창출하였는지를 보여주는 활동성 지표이다.
총자산회전율이 높으면 보유한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총자산회전율이 낮으면 불필요한 자산이 많거나 자산 이용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매출채권회전율
매출액을 평균매출채권으로 나눈 수치
회사가 외상으로 판매한 매출채권을 얼마나 빨리 현금으로 회수하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매출채권회전율이 높다는 것은 일정기간동안 외상으로 판매한 매출채권을 현금으로 빠르게 회수하고 있다는 의미한다.
회가가 외상 신용 정책을 잘 수립하였고 효율적으로 현금을 회수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재고자산회전율
매출액을 평균재고자산으로 나눈 수치
회사가 재고를 얼마나 잘 운용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재고자산회전율이 높을수록 재고자산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재고자산이 매출로 빠르게 이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재고자산회전율이 낮을 경우 재고자산이 매출로 이어지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을 뜻하며 재고손실의 발생 가능성이 높고 보관 및 관리를 위한 부대비용이 많이 들어갈 수 있다.
매입채무회전율
매출액을 평균매입채무로 나눈 수치
매입채무의 변제*속도를 표시해주는 비율
* 변제 : 채무의 내용인 급부가 실현되어 채권이 소멸하는 경우; payment (=이행)
일정기간동안 매입채무(매입하면서 진 빚)가 몇 번 회전되는가를 나타낸다.
회사가 얼마나 돈을 잘 갚는냐를 판단한다.
매입채무회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지급능력이 양호한 상태임을 나타낸다.
매입채무회전율이 낮을수록 회사의 지급시기가 늦어지는 것을 뜻하므로 혹시나 회사의 지급능력이 떨어지고 있는지 않은지를 검토해야 한다.
유형자산회전율
매출액을 평균유형자산으로 나눈 수치
유형자산의 효율적인 이용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영업자산의 매출액 기여도에 대한 효율성을 판단한다.
유형자산회전율이 높을수록 유형자산의 이용도가 양호한 상태를 나타낸다.
유형자산회전율이 낮을 때는 유형자산의 이용이 불충분하거나 유형자산에 대한 투자가 과대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ex 1) 총자산이 100억인 회사의 매출액은 어느정도일까?
➡️ 총자산회전율을 이용하면 된다.
제조업은 총자산만큼의 매출을 발생시킨다. 반면 서비스업은 자산대비 매출액을 못올리고 있다.
ex 2) 경쟁사 A, B가 있을 때 B사 주주의 수익률이 A사에 비해 떨어지는 결정적인 원인?
➡️ A사와 B사는 자산은 동일하나 부채와 자본 비율이 다르다.
자기자본순이익율이 B사가 떨어진다.
이것이 주주가 넣어준 자기자본대비수익률인데 자기자본 70억을 넣었는데 자기자본순이익율이 3%니까 B사 주주의 수익률이 A사에 비해 떨어지는 것이다.
이처럼 자본과 부채를 적절히 활용하여 자기자본순이익율을 높여야 한다!
단, 부채를 사용할 때는 안정성을 커버해야 한다.
(최근에 읽은 책에 이 내용이 나왔는데 다음에 정리해보자.)
ex 3) 기업은 보통 몇 일분의 판매량을 재고로 보유하고 있을까?
➡️ 이번에는 분자를 매출원가로 해보자.
제조업의 재고자산 평균회전기간 = 365 / 10.38 = 약 36일
즉, 제조업은 36일분의 판매량을 재고로 보유한다.
ex 4) 재고자산이 전기에 비해 급증하고 있을 때 그 이유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 재고자산회전율을 알면된다!
즉, 재고자산회전율이 확 떨어지면서 재고가 빨리 나가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ex 5) 회사가 외상판매 후에 현금으로 대금을 회수하는데 걸리는 기간은?
평균회수기간을 환산해보자.
제조업의 매출채권 평균회수기간 = 365 / 6.72 = 약 60일
* 만약 매출채권회전율이 365라면 매출채권 평균회수기간이 1일 즉, 거의 현금거래하고 있다는 뜻이다.
ex 6)
-> 매출채권회전율을 이용해보자.
매출채권회전율 = 매출액 / 평균 매출채권 = 30,000,000 / x = 5
x = 6,000,000
그런데 매출채권잔액은 원래 10,000,000원이었으니 10,000,000 - 6,000,000 = 4,000,000원이 회수되기 어렵다고 판단한 것이다.
ex 7) 회사가 외상매입대금을 결제하기까지 걸리는 기간은 평균 몇 일 정도일까?
➡️
매입채무 평균지급기간 = 365 / 약 11 = 약 13일
ex 8) 회사 A는 매입채무의 누락이 의심되고 있다. 회사의 매입이 연중 일정하게 발생할 경우 매입채무 누락으로 추정되는 금액은? 매입채무회전율 = 12
➡️ 매입채무회전율 = 매출원가 / 평균 매입채무 = 3,600억원 / x = 12
x = 300억원
이때 기말 매입채무계상액이 100억원이므로 매입채무 누락은 200억원이다.
'Diggin' > fin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 기초] 재무비율 계산 (4) 성장성비율 (0) | 2023.02.09 |
---|---|
[회계 기초] 재무비율 계산 (3) 수익성비율 (0) | 2023.01.29 |
[회계 기초] 재무비율 계산 (1) 안정성비율 (0) | 2023.01.22 |
[회계 기초] 재무제표 쉽게 읽기위한 재무비율 분석 (0) | 2023.01.03 |
[회계 기초] 감사의견 (1) | 2023.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