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그동안 배운 재무제표를 정리해보고 이 재무제표를 통해 기업을 파악해보자.
회계정보 전달 과정
회계정보는 재무제표를 통해 이해관계자에게 전달된다.
ex) 아래와 같이 두 회사의 재무제표가 있다면
✅ 두 회사는 똑같이 자산 100억을 갖고 있지만 투자자 입장에서는 왼쪽 회사가 더 매력적일 것이다.
재무제표의 종류
<재무제표 종류> | <알 수 있는 정보> |
재무상태표 | 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 등 재무상태를 표시 |
손익계산서 | 기업의 수익, 비용 등 경영성과에 대해서 표시 |
자본변동표 | 기업의 자본크기나 변동내역을 표시 |
현금흐름표 | 기업의 현금흐름에 대한 정보를 표시 |
주석 | 기본 재무제표에 대해 뒤에서 별도로 보충 설명 |
📌 사실상 주석은 굉장히 중요하다.
재무제표와 손익계산서
이 둘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것이 기업 돈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핵심이다.
ex)
자본변동표와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 자본의 크기나 변동내역 나타내는 재무제표
현금흐름표: 기업의 현금흐름을 나타내는 재무제표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으로 나누어 표시)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구매, 생산, 판매로 인한 현금흐름으로 기업가치를 결정하는 본질적 요소 |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유가증권, 유형자산 등의 취득, 처분 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차입금의 조달 및 상환, 유상증자, 배당 등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현금흐름표의 필요성
손익계산서는 발생주의에 따라 작성한 재무제표이므로 손익계산서상 이익이 발생해도 현금은 부족할 수 있다.
즉, 손익만 봐서는 회사의 유동성을 놓칠 수 있기 때문에 회사가 망하는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현금흐름표를 통해 현금 유동성을 파악해야 한다.
ex 1)
➡️ 여기서 수익은 발생주의 원칙에 따라 20X2년에 잡는 것이 맞다. 또 비용 역시 20X2년도에 수익 120억을 잡을 때 매출원가로 100억을 잡는다. 따라서 이익은 20억인데 실제 돈이 들어온 것은 20X3년도이다.
ex 2) 아래의 손익계산서와 현금흐름표를 주의해서 보자.
➡️ 손익계산서만 보면 매년 돈이 들어온 것으로 파악할 수 있지만 실제로 현금흐름표를 보면 그렇지 않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제일 중요한 영업활동현금흐름을 보자. 영업이익은 (+)지만 영업활동현금흐름은 (-)이다. 분명 문제가 있는 것!!!
현금흐름표와 기업상황
'Diggin' > fin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 기초] 재무제표 쉽게 읽기위한 재무비율 분석 (0) | 2023.01.03 |
---|---|
[회계 기초] 감사의견 (0) | 2023.01.03 |
[회계 기초] 결산분개 (5) 회계장부 마감 (1) | 2022.12.24 |
[회계 기초] 결산분개(4) 유형자산 무형자산 퇴직급여충당부채 외화자산/부채 환산 (0) | 2022.12.18 |
[회계 기초] 결산분개 (3) 재고자산 기타유동자산/부채 (0) | 2022.12.14 |